정관 변경 절차 5단계

법인정관의 모든 것
✔︎ 사람이 계절에 맞춰 옷을 갈아입는 것처럼, 적절한 시기에 정관도 바꿔주세요!

 

 

1️⃣ 대표님, '이것' 하기 전에 정관 변경하세요!

회사에서 중요한 일을 하기 전, 미리 정관 개정이 필요한지 확인해 보세요! 법인정관에 필요한 규정이 없어서 새로 만들거나, 기존에 정해둔 규정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어요.

  • 회사 이름 변경하기

  • 자본금, 발행할 주식 수 변경하기
  • * 새로운 사업목적 추가
  • 임원 선임 규정 만들기
  • 공고 방법 변경하기
  • * 다른 관할로 본점 주소 옮기기
  • * 직원에게 스톡옵션 부여하기
  • * 기존에 운영하던 사업목적 삭제
  • 임원 보수 규정 만들기
  • 정기주주총회 소집 시기 변경하기

 

 

 

 

2️⃣ 회사 정관 변경하는 방법 5단계

1) 정관변경안 결정하기

상호, 사업목적, 자본금 등 정관에서 ①수정이 필요하거나 ②새로 만들어야 하는 규정을 자세하게 결정해 주세요.

 

 

2) 주주총회 소집 결의하고 통보하기

가장 먼저 이사회에서 주주총회 소집 결의를 합니다. 그다음 대표이사는 주주들에게 주주총회 소집 통지를 해주세요. 만약 주주 전원이 동의한다면 주주총회 소집 통지는 생략할 수 있어요.

 

 

3)  주주총회를 열고, 정관 변경을 결의하기 

정관은 회사의 헌법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문서이기 때문에, 정관 내용을 바꾸려면 많은 주주의 동의가 필요해요.

👉🏻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

  • 발행주식 총수의 1/3 이상 출석
  • 출석한 주주 의결권 2/3 이상의 수로 결의

 



💁🏻‍♂️ 예를 들어 볼게요.  

🏢 A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의 총수 3,000,000주

 

[주주 명부]
🙋🏻‍♀️ 주주 김씨, 보유 주식 1,500,000주
🙋🏻 주주 박씨, 보유 주식 800,000주 
🙋🏻‍♂️ 주주 이씨, 보유 주식 700,000주

  • 만약, A 주식회사가 정관을 변경하려면?
    • 주주총회에 참여한 주주의 총 주식 수가 1,000,000주 이상이어야 합니다.
    • 출석한 주주 의결권의 2/3 이상의 수로 결의해야 합니다.

 

4) 주주총회 회의록을 작성하고 보관하기 (정관 뒷면에 붙여 주기)

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 안을 결의한 다음, 작성한 주주총회 회의록을 기존 정관 뒷면에 붙이면 정관변경 효력이 발생해요.

 

 

5)  (필요시) 본점 2주 이내, 지점 3주 이내 변경등기를 신청하세요.

정관을 수정했다고 해서 모두 변경등기가 필요한 건 아니에요. 단, 법인등기부등본에 공통으로 기재되는 사항을 수정, 추가한 경우에는 본점은 2주 이내, 지점은 3주 이내에 변경등기를 신청해 주세요.

 

✅  변경등기가 필요한 대표적인 정관 사항 (중요)

  • 회사명 변경
  • 자본금 증자
  • 다른 도시로 사무실 이전
  • 새로운 사업목적 추가 또는 삭제
  • 스톡옵션 규정 신설 및 개정 또는 삭제

 

 

 

 

 

💁🏻‍♀️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 정관, 왜 중요할까요?

👉🏻 정관으로 세금 아끼는 방법

👉🏻 이럴 땐 반드시 정관을  변경해주세요!

 

👨🏻‍💻 법인의 모든 것을 한 번에 관리하는 '원스톱 법인관리 시스템'

[스탠바이]

-

어딘가에 있는 '사업자등록증',  관리하기 어려운 '주주명부', 어떤 내용인지 알기 어려운 '정관' 💦

법인관리, 더이상 곤란해하지 마세요! 

대표님이 돈 버는 일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원스톱 법인관리 시스템, [스탠바이] 가 있습니다.

이제부터 법인 운영에 필요한 등기, 회계, 주주관리 모두 스탠바이에서 한 번에 처리하세요!